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가장 극적인 하루였던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부터 해제까지의 모든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비상계엄의 시작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27분,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1980년 전두환의 쿠데타 이후 44년 만의 비상계엄령이었습니다.
공식 선포 이유
윤석열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 북한 공산세력의 위협으로부터 자유 대한민국 수호
- 종북 반국가세력 척결
- 자유 헌정질서 수호
계엄사령부의 조치
박안수 계엄사령관은 포고령 1호를 통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 모든 정당 및 정치단체의 활동 금지
- 집회와 시위 금지
- 언론 통제
- 의료진 48시간 내 업무 복귀 명령
시민들의 저항
비상계엄 선포 직후, 약 2,000명의 시민들이 국회 앞에 자발적으로 모여 "계엄령 반대"를 외치며 저항했습니다. 시민사회단체들도 즉각적으로 반발했으며, 전국 360개 시민단체가 연대하여 계엄령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국회의 대응
여야 의원들은 신속하게 대응했습니다. 4일 새벽 1시, 국회는 재적의원 300명 중 190명이 출석한 가운데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도 18명의 의원이 해제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다는 것입니다.
계엄 해제
윤석열 대통령은 12월 4일 오전 4시 25분, 용산 대통령실에서 "계엄 사무에 투입된 군을 철수시켰다"며 비상계엄 해제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선포부터 해제까지 약 6시간만의 일이었습니다.
역사적 의미
이번 비상계엄은 대한민국 건국 이후 16번째 계엄령이었으며, 민주화 이후 처음 선포된 계엄령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집니다. 또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저항과 국회의 신속한 대응이 민주주의의 저력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후속 영향
- 여당 내부 분열 심화
- 대통령 탄핵 논의 본격화
- 시민사회의 민주주의 수호 의지 재확인
- 헌정 질서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 대두
이번 사태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성숙도를 시험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시민들의 저항과 국회의 견제, 그리고 법치주의의 승리를 보여준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국방부 펜타곤의 UFA 드론 브리핑 내용 요약 (0) | 2024.12.18 |
---|---|
2024년 철도·지하철 파업 총정리: 원인부터 시민 영향까지 (1) | 2024.12.05 |
조국 대표 '운명의 날' - 대법원 판결의 모든 것 총정리 (0) | 2024.11.22 |
동덕여대 남녀공학 전환 논란의 이면 - 여성 교육 공간의 가치와 도전 (0) | 2024.11.19 |
대한민국 정치 지형 바꿀 이재명 재판, 그것이 알고 싶다 (3)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