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어쩔수가없다‘ 원작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의 《액스》 리뷰

문화,연예

영화 ‘어쩔수가없다‘ 원작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의 《액스》 리뷰

HoyaNo1 2025. 1. 22. 13:03
반응형

우리는 끊임없이 경쟁해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마치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는 거대한 기계 속 부품처럼, 언제 대체될지 모르는 불안감에 시달리곤 합니다.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의 《액스》는 바로 이러한 현대 사회의 불안과 공포를 예리하게 포착한 작품입니다. 회사에서 수십 년간 자신의 모든 걸 바친 결과가 하루아침에 맞게 되는 해고라면 어떨까요? 평생 쌓아온 경력이 한순간에 무너지고, 생계를 유지할 방법조차 막막해진 상황에서 우리는 어디까지 떨어져야 하는지 가늠조차 하기 힘듭니다. 소설은 이처럼 벼랑 끝에 내몰린 인간의 심리를 예리하고도 섬뜩하게 그려내면서 묵직한 충격을 선사합니다. 과연 우리는 이 소설을 통해 무엇을 보게 될까요? 도끼날 아래 놓인 것은 비단 주인공만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액스》: 자본주의의 민낯을 드러내다

《액스》는 51세의 중년 남성 버크 데보어가 구조조정으로 해고된 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 위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이 원하는 직책에 지원할 만한 경쟁자들을 하나씩 살해하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버크는 점점 더 냉혹해지고,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며 도덕적 기준을 낮춰갑니다.

웨스트레이크는 이 작품을 통해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가 낳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합니다. 끊임없는 경쟁과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는 개인을 소모품처럼 취급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약화시키며, 그 희생양은 언제나 개인이 짊어지게 된다고 말합니다.

반응형

인간 심리의 깊은 곳을 파고들다

《액스》의 가장 큰 강점은 주인공 버크의 심리 변화를 섬세하게 그려내는 데 있습니다. 처음에는 평범한 중산층 가장이었던 그가 어떻게 연쇄 살인범으로 변모해가는지, 그 과정에서 겪는 내적 갈등과 자기합리화의 과정이 생생하게 묘사됩니다.

웨스트레이크는 인지부조화 이론을 교묘하게 활용하여 버크의 심리 변화를 설명합니다. 자신의 행동이 믿음과 가치관에 어긋날 때, 인간은 그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행동을 바꾸거나 믿음을 수정합니다. 버크는 후자를 선택하여 점점 더 자신의 범죄를 정당화해 나갑니다.

사회의 자화상을 그리다

《액스》는 단순한 스릴러 소설을 넘어 우리 사회의 자화상을 그리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상황에 내몰린 개인이 어디까지 도덕적 한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과연 개인의 책임인지 아니면 사회 구조적 문제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특히 이 소설이 발표된 1997년은 미국 사회에서 대규모 구조조정과 실업 문제가 심각했던 시기였습니다. 웨스트레이크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여, 경제적 압박과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윤리 의식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블랙 코미디의 정수를 보여주다

웨스트레이크 특유의 블랙 유머와 풍자는 이 어두운 주제를 더욱 날카롭게 만듭니다. 주인공의 극단적인 행동과 그것을 합리화하는 과정이 때로는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동시에 불편한 감정을 안겨줍니다.

특히 소설의 결말 부분에서 버크가 원하던 직장에 취직하게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은 독자들에게 씁쓸한 여운을 남깁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성공'이라는 것이 얼마나 공허하고 위험한 것인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줍니다.

마치며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의 《액스》는 단순한 범죄 소설을 넘어 우리 시대의 자화상을 그리는 작품입니다. 극단적인 상황에 내몰린 개인의 선택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인간 심리의 어두운 면을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이 소설은 우리에게 불편한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는 극한 상황에서 어디까지 도덕적 한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과연 개인의 책임인지, 아니면 사회 구조적 문제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듭니다. 《액스》를 읽으면서 우리는 어쩌면 우리 자신의 모습을, 그리고 우리 사회의 민낯을 마주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 작품은 단순히 한 개인의 비극적인 선택을 넘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게 만듭니다. 결국 도끼날 아래 놓인 것은 우리 모두일지도 모르니까요.

반응형